반응형
상속세는 누가, 언제, 얼마나 낼까?
공제 제도만 제대로 알아도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씀하세요.
“주택 한 채 상속받았는데, 주변에서 10억까진 상속세 안 낸다고 하던데요?”
→ 이 말은 절반만 맞고, 절반은 틀릴 수 있습니다.
상속세는 상속공제라는 제도를 적용한 뒤의 순재산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며,
누가 상속인이냐에 따라 공제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1. 상속세는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나요?
상속세 계산 = 총 상속재산 − 채무 − 상속공제 = 과세 대상 금액
즉, 고인의 부채나 공제항목이 많으면 실제 세금은 줄어들 수 있어요.
2. 상속공제란 무엇인가요?
상속세를 계산할 때 일정 금액을 빼주는 제도입니다.
이 공제액은 상속인의 구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해요!
3. 상속인 구성에 따른 공제액 총정리
상속인 구성 | 공제 금액 구성 | 총 공제 범위 |
---|---|---|
배우자 + 자녀 | 기본공제 5억 + 배우자공제 5~30억 | 10억 ~ 최대 35억 |
배우자 단독 | 기본공제 2억 + 배우자공제 5~30억 | 7억 ~ 최대 32억 |
자녀만 상속 | 기본공제 5억 | 최대 5억 |
● 기본공제는 무조건 적용
● 배우자 공제는 실제 받은 금액이나 법정상속지분 이내로 적용
4. [실사례] 같은 10억 주택을 상속받아도 세금이 달라진다?
상황 ① 자녀가 10억짜리 아파트를 단독 상속 → 공제액: 기본공제 5억 → 과세 대상: 5억
상황 ② 배우자가 같은 아파트를 상속 → 공제액: 기본 5억 + 배우자공제 5억 이상 → 과세 대상: 거의 없음
즉, 같은 재산을 상속받아도 상속인의 구성에 따라 세금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5. 기타 공제제도도 활용 가능
- 금융재산 공제: 최대 2억
- 가업상속공제 / 영농상속공제: 사업, 농업 등 조건에 따라 공제
- 동거주택 상속공제: 다음 시리즈에서 소개!
요약
구분 | 핵심 포인트 |
---|---|
공제액은 누가 상속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 배우자 포함 시 공제 폭 증가 |
기본공제는 무조건 적용됨 | 최소 2억~5억 |
추가공제 활용 시 세금 줄일 수 있음 | 금융/가업/영농/동거주택 공제 활용 가능 |
다음 편에서는 “배우자가 상속받을 때 공제 혜택이 큰 이유”를 실사례와 함께 알려드립니다!
다음 글도 읽어보세요!
상속·증여 세금상식 시리즈 1편
이 글 하나로 상속세 기본 개념을 완벽하게 정리해 보세요상속세, 막연히 어렵다고 느끼셨나요?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갑작스럽게 마주하게 되는 ‘상속세’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 겪는 일
eunvely-ne-life.tistory.com
상속·증여 세금 상식 시리즈 2편
‘이것도 상속재산?’ 꼭 알아야 할 항목들상속세 계산 시 놓치기 쉬운 포인트 총정리!상속세를 단순히 “물려받은 재산에 내는 세금”이라고 생각하셨다면 오해입니다.실제로는 고인이 살아
eunvely-ne-life.tistory.com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숲, 왜 20대는 여길 사랑할까? (0) | 2025.04.10 |
---|---|
유아기 어린이를 위한 최고의 견학 장소 추천 (0) | 2025.04.07 |
상속·증여 세금 상식 시리즈 2편 (0) | 2025.04.05 |
상속·증여 세금상식 시리즈 1편 (0) | 2025.04.04 |
감정을 흘려보내는 밤, 저녁 명상법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