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역하면 천만 원?! 장병내일준비적금 완전정리

by JTBN NEWS 2025. 4. 11.
반응형

장병내일 준비적금 완전정리 | 전역 시 최대 1,000만 원 받는 방법

2025년 기준 최신 정보 반영

군인이 장병내일준비적금 들고 기뻐하는 모습
< 장병내일준비적금 정리 >

“전역하고 나니까 천만 원이 생겼다?”

군대에 있을 땐 매달 나오는 급여도 부족한데 어떻게 천만 원을 모았냐고요?

그 비밀은 바로 ‘장병내일 준비적금’입니다.

저도 훈련소 수료 후 가입했는데, 솔직히 그땐 잘 몰랐어요. 그냥 월급에서 빠져나가겠지 생각했는데…

전역하는 날, 계좌를 확인했을 때 깜짝 놀랐습니다. 적금, 이자, 정부지원금, 군 지원금까지 몽땅!

장병내일 준비적금이란?

군 복무 중인 장병을 위한 정부 지원 적금 상품입니다. 매월 4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와 군이 함께 돈을 얹어주는 제도죠.

가입 조건은?

  • 대상: 현역병(육·해·공군),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의무소방, 해양의무경찰
  • 가입 시기: 입영 후 1개월 이상 복무 중
  • 가입 은행: 신한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등

혜택 요약

1년 반(18개월) 만기로 최대 1,0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

항목 금액 (예시)
본인 납입 (40만 원 x 18개월) 720만 원
정부지원금 약 72만 원
군 지원금 (부대별 차이) 최대 40만 원
은행 이자 (비과세) 약 20만 원
총 수령 예상액 850~1,050만 원

시뮬레이션 예시

복무 기간 총 납입 정부+군 지원 이자 포함 수령액
12개월 480만 원 약 60만 원 약 570~620만 원
18개월 720만 원 약 100만 원 약 850~1,050만 원

※ 실제 수령액은 이자율, 군 지원금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신청 방법은?

  1. 입영 후 1개월 이후
  2. 군부대 내 은행 상담창구 방문 (일부 부대는 모바일 앱 가능)
  3. 적금 통장 개설 및 자동이체 등록
  4. 전역 시 자동 만기 처리

중요 유의사항

  •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미지급 가능성 있음
  • 매월 본인 납입 최대 40만 원
  • 정부지원금은 자동으로 적립
  • 비과세 상품 혜택 (이자소득세 없음)

※ 전역 전 해지하면 전체 혜택 손해 볼 수 있으니 꼭 유지하세요!

비슷한 제도와 비교: 청년내일 저축계좌 vs 장병내일 적금

항목 장병내일준비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군 복무 중 장병 저소득 청년
납입 기간 군 복무 기간(최대 24개월) 3년
정부지원 월 최대 6만 원 + 군 지원 월 최대 30만 원
혜택 만기 시 천만 원 내외 만기 시 1,440만 원 이상
비고 군 복무 중 가입 필수 소득 요건 만족 필요

군대 간 김에 이건 꼭 하자!

군대에서 매달 적금 든다는 게 쉽진 않죠. 하지만 이건 ‘내가 복무한 대가로 받는 혜택’입니다.

단돈 1만 원도 아쉬운 전역 후 사회생활에서 이 적금은 든든한 출발 자금이 되어줄 거예요.

바로 확인해 보기

FAQ

  • Q1. 상근예비역도 가입할 수 있나요?
    네, 상근예비역도 현역 복무 중이므로 가입 가능합니다.
  • Q2. 중도 전역하거나 병과 변경 시 적금은 어떻게 되나요?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본인 납입금과 이자는 수령 가능해요.
  • Q3. 부대에 은행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일부 부대는 모바일 신청도 가능하며, 외출 시 인근 제휴 은행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 Q4. 본인 명의 계좌가 필요한가요?
    가입 시 본인 명의 휴대폰 및 통장이 필요합니다.
  • Q5. 적금은 자동으로 빠져나가나요?
    네, 군 급여 통장에서 자동이체로 매달 납입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어떤 통장이 더 유리할까?

청년 자산 형성의 핵심인 두 가지 정부 지원 상품, 바로 ‘청년내일 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이름도 비슷하고 지원도 다 비슷해 보여 헷갈리는 분들 많으시죠? 두 상품은 분명한 차이가

eunvely-ne-life.tistory.com

 

 

청년 도약 계좌 2025 조건 총정리! 혜택과 주의 사항 한눈에 보기

청년 재테크 핵심으로 주목받는 "청년도약계좌". 2025년 달라진 조건을 기반으로, 매달 최대 70만 원 저축 시 정부 지원과 복리 혜택으로 약 5천만 원까지 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입 조건과 혜

eunvely-ne-life.tistory.com

 

지금 바로 준비하세요!

내 조건 확인하러 가기 → [병무청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