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 드라마 차트(총 시청시간 기준) 10위에 오를 정도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SF8 8편!!
SF8은 인공지능, 증강현실, 로봇, 게임, 재난 등을 주제로 하는 드라마 내용으로 미래사회에 대한 생각할 시간을 만들어주는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미래를 배경으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게임, 판타지, 호러, 초능력, 재난 등 다양하고 독창적인 소재를 다룬 영화와 드라마의 크로스오버 프로젝트다.
SF8 (에스 에프 에잇)
장르 : SF 시리즈
방송 : 채널 WAVVE, MBC
방송 기간 : WAVVE 2020년 7월 10일~
MBC 2020년 8월 14일 ~ 2020년 10월 2일
방송 시간 : MBC 매주 금요일, 밤 10시
방송 분량 : 50분
방송 횟수 : 8부작
기획 : MBC, DGK
프로듀서 : 안수연, 강가미, 박준호, 이용수, 박선혜, 정혜영, 박진성, 나현준
제작사 : DGK, 수필름
감독 : 민규동, 한가람, 이윤정, 노덕, 장철수, 오기환, 안국진, 김의석
제작자 : 민진수
출연자 : 이유영, 예수정, 이시영, 하준, 김보라, 최성은, 이연희, 이동휘, 안희연, 이세희, 최시원, 유이, 이다윗, 신은수, 문소리, 장유상 외
8가지 에피소드
1. 간호중 (The Prayer)
2. 블링크 (Blink)
3. 우주인 조안 (Joan's Galaxy)
4. 만신 (Manxin)
5. 하얀 까마귀 (White Crow)
6. 증강 콩깍지 (Love Virtually)
7. 일주일 만에 사랑할 순 없다 (Baby It’s Over Outside)
8. 인간증명 (Empty Body)
간호중 (The Prayer)
"SF를 통해 인간다움을 묻다"
연출: 민규동, 극본: 민규동, 김지희
원작 : TRS가 돌보고 있습니다 (김혜진 작가)
이유영 : 간호중 / 연정인 역
예수정 : 사비나 역
염혜란 : 최정길 역
최병모 : 관리과장 역
윤경호
문숙 (특별출연)
오랜기간 요양병원에서 식물인간으로 누워 있는 환자와 환자를 간호하면서 지쳐가는 보호자. 그런 둘을 보살피는 간병 로봇이 누구를 살려야 할지를 고민하게 되는 순간이 오는데...
블링크 (Blink)
"블링크, 대립과 공존 무엇을 택할 것인가?"
연출: 한가람, 극본: 강산
원작 : 백중 (김창규 작가)
이시영 : 지우 역
하준 : 서낭 역
이준혁 : 반장 역
형사 '지우'는 자율 주행차 사고로 어린 시절 부모님을 잃은 기억 때문에, 인공지능에 대한 불신이 있어, 인공지능보다는 자신의 판단과 감을 신뢰하는 형사다. 그런 그녀가 자신의 뇌 속에 이식된 인공지능 '서낭'과 함께 살인사건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형사 '지우'는 인공지능 '서낭'과 어떤 콤비플레이로 범인을 잡을 수 있게 될지...
우주인 조안 (Joan's Galaxy)
"분열의 시대, 연대에 대한 물음을 던지다"
연출: 이윤정
극본: 문주희, 이윤정
원작 : 우주인 조안 (김효인 작가)
김보라 : 조안 역
최성은 : 이오 역
윤정훈 : 경 역
김주령 : 김정원 역
미세먼지로 뒤덮인 미래의 어느 시점, 태어날 때부터 100세 수명을 누리도록 고가의 항체 주사를 맞는 C, 그리고 항체를 맞지 못해 30세까지 밖에 살 수 없는 N. 어느날 C인 줄 알고 살아오던 26살 대학생 '이오'는 병원 측의 착오로 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평생 C인 줄 알았던 그의 눈에 들어온 N들의 삶. 그들 중에서 '조안'의 삶을 궁금해하기 시작하는데...
'우주인 조안'을 연출한 이윤정 감독은 "C는 클린, N은 넌클린이라는 의미이고, 은어처럼 NCC TN 등으로 작품 속에서 계급을 더 세분화해서 부르는 용어들이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우주인, 조안' 원작에서는 재난상황 속에서 젊은 세대의 여러 가지 고민들을 현실적으로 담아내고 있는데, 특히나 1인칭 주인공의 심리를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특정 기술이 특정 계급에게만 제공되고 특권처럼 비치는 이런 모습들이 우리의 현실과 매우 유사해 보였다" 라며 작품을 소개했다.
만신 (Manxin)
"레트로 SF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연출: 노덕, 극본: 김민경, 노덕
이연희 : 토선호 역
이동휘 : 정가람 역
남명렬 : 이지함 역
서현우 : 김인홍 역
매우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 인공지능 운세 서비스 '만신'을 신으로 떠받드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아픔을 가진 '선호'와 '가람'은 운서 서비스 '만신' 개발자를 찾아나서게 되지만,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만신'의 정체를 알게 되는데...
하얀 까마귀 (White Crow)
"진실을 마주할 용기에 대하여"
연출: 장철수, 극본: 강선주
원작 : 코로니스를 구해줘 (박지안 작가)
안희연 : JUNO 역
이세희 : 장준오 역
신소율 : 신지수 역
최배영
구독자 80만명을 보유한 게임 BJ 'JUNO'는 어느 날 동창생으로부터 과거 조작 논란에 휩싸이면서, 쌓아왔던 부와 명예, 그리고 팬들까지 한순간에 날려버리게 된다. 이에 'JUNO'는 신작 게임 '트라우마'를 통해 명예회복과 방송 복귀를 노리려 한다. 하지만 결국 게임 속 가상세계에 갇히게 되고, 생명의 위협까지 받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과연 그녀는 게임에서 벗어나 다시 돌아올 수 있을 것인가?
증강 콩깍지 (Love Virtually)
"사랑의 다양한 형태와 그 본질에 대하여"
연출: 오기환, 극본: 오기환
원작 : 증강 콩깍지 (황모과 작가)
최시원 : 서민준 역
유이 : 한지원 역
안세하 : 구성태 역
김한나 : 탁수진 역
가상 연애 앱 '증강콩깍지',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사용하는 대표 앱이 돼버린 가까운 미래에 이 앱을 통해서 사랑을 나누고 있는 커플이 있다. 이들은 성형 수술 전 서로의 얼굴에 끌려, 커플이 되고 좋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데, 시스템이 다운되면서 앱 복구가 늦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아이디 말고는 아는 게 없는 이들의 미래는 어떤 일들이 벌어질 것인가?
일주일 만에 사랑할 순 없다 (Baby It’s Over Outside)
"종말을 통해 존재를 이야기하다"
연출: 안국진, 극본: 김민경
원작 : 일주일 만에 사랑할 순 없다 (김동식 작가)
이다윗 : 남우 역
신은수 : 혜화 역
황정민 : 양 선생 역
배해선 : 앵커 역
누구나 상상해봤을 법한, 지구 종말. 이런 상상이 실제가 되어 지구 종말까지 일주일밖에 남아있지 않은 상황. 종말 소식에 사람들은 그동안 못다 한 이야기를 하게 되고, 각자의 취향을 가진 사람들은 커밍아웃을 하기 시작한다. 그 안에는 초능력자들도 포함되는데, 주인공 '혜화'는 이런 초능력자들을 모아 종말을 막으려 하고, 모태솔로 '김남우'는 종말 순간까지 외롭기만 한데, 이들은 종말을 이겨내고 사랑하게 될 수 있을까?
‘일주일 만에 사랑할 순 없다’는 영화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로 대중들에게 충격을 안겼던 안국진 감독이 연출한 작품. ‘만약 지구 종말까지 딱 일주일만이 남았다면?’이라는 상상력을 품은 이 작품은 종말을 막기 위한 두 남녀의 로맨스를 그린다. 이다윗이 종말 순간에도 외롭기만 한 모태솔로 김남우 역을, 초능력자들을 모아 종말을 막으려고 하는 혜화 역은 신은수가 연기한다.
무엇보다 ‘일주일 만에 사랑할 순 없다’가 기대를 모으고 있는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지구 종말과 초능력이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로맨스를 그려냈다는 것이다. 이에 안국진 감독은 “원작 소설이 있는 작품이다. 종말에 초능력, 로맨스까지 섞여 있어서 재미있었다”며 “지금 세대가 가진 감성을 더 표현해보고 싶었다. 나의 존재뿐 아니라 모두가 사라지는 종말이 과연 슬프기만 할까, 슬픈 건 따로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드러낸 작품”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세 가지가 만나 어떤 시너지를 발휘해 기발하고 통통 튀는 작품으로 탄생했을지 기대를 모은다.
인간증명 (Empty Body)
"죽음으로부터 사랑한 사람을 되살린다면?"
연출: 김의석, 극본: 김의석, 이한나
원작 : 독립의 오 단계 (이루카 작가)
문소리 : 가혜라 역
장유상 : 영인 역
먼 미래는 인공지능/로봇의 몸에 인간의 뇌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사회. 사고로 아들을 잃었던 '혜라'는 아들의 뇌를 인공지능과 결합하게 되는데, 그러던 어느 날 '혜라'는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이는 아들의 모습을 보고, 인공지능이 아들의 영혼을 지운채, 아들 행세를 하고 있다고 의심하게 되는데...
MBC 시네마틱 드라마 ‘SF8’은 오는 8월 14일 금요일 밤 10시 10분에 첫 방송된다. 매주 1편씩 총 8주 동안 공개될 예정이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스터 류현진, ATL전 5이닝 8K 무실점 부활투, 토론토 이적 후 시즌 첫승 (0) | 2020.08.06 |
---|---|
모기 알레르기, 스키터 증후군 그 증상과 대처법 (0) | 2020.08.03 |
MBC 스트레이트, 집값 폭등의 또 다른 주범 '언론', '언론'은 정말 집값 안정을 바랄까? (0) | 2020.08.02 |
토론토 류현진, 2경기 연속 부진, 빠른공 실종? (0) | 2020.08.01 |
초통령 도티는 누구? 도티 학력, 연봉(수입), 회사, 집, 키 (0) | 2020.07.31 |
댓글